시작 하기앞서 꼭 알아야할 KEY POINT
TCP/IP 란?
- TCP/IP란 데이터 송수신에 관한 일련의 작업을 하나로 모은 것이다. 즉, 컴퓨터간의 통신을 위해 만들어졌다. 효율적인 통신을 위해 기본적으로 5단계의 계층으로
이루어 져있다.
패킷(packet)이 란?
-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로 분할해서 보내는 것이다. 이때 사용 되는 정보의 전송 단위이며, 한 패킷은 보통 1,024비트이다.
통신서비스와 프로토콜이 란?
- 컴퓨터 속에 있는 프로그램 끼리의 데이터를 주고 받기 때문에, 주고 받기 위한 목적지와 출발지가 있어야한다. 그러한 기능을 하는 것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프로그램을 서버,
서비스를 받는 기능을 갖고 있는 프로그램을 클라이언트라고 한다.
<통신 프로토콜>
- 절차를 포함한 통신규약 즉, 데이터를 주고받으려면 송신측과 수신측의 컴퓨터가 미리 정해 놓은 공통된 매뉴얼에 따라 연락을 취해야 한다.
이렇게 현재 전 세계 공통 통신 프로토콜로 채택된 것이 TCP/IP이다.
<TCP/IP특징>
-계층화
tcp/ip에서는 송수신과 관련된 일련의 작업을 몇 개의 단계로 나눠서 수행한다. 각 단계를 층(layer), 그 층으로 나눈 것을 계층화라고 한다.
tcp/ip는 5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TCP/IP의 구조>
- tcp/ip의 구조는 그림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5계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1-물리층,2-데이터링크층,3-네트워크층,4-트랜스포트층,5-애플리케이션층) 또한 효율적으로 통신을 하며
각 계층과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 데이터보다 앞에 추가한 정보를 헤더, 뒤에 추가한 정보를 트레일러라고 한다.
- tcp/ip에서는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로 분할해서 송수신하는 패킷 교환이라는 방법으로 주고 받는다. 이러한 통신 방법을 패킷 통신이라고 한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 서버 , 서비스를 받는 측은 클라이언트 라고 한다.
url이란?
- 네트워크 상에 있는 특정 데이터 등을 표시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url 속에는 함축적으로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스킴명
- 스킴명 서비스에는 http(www), ftp(파일전송) ,mailto (전자메일),telnet(원격 로그인) 등이있다.
도메인
- 내 블로그 주소 또한 http://th-recipe.tistory.com 도메인이다.
gTLD(generic Top Level Domain)
- .com , .org 등 도메인주소의 마지막에 위치하며 , 나라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조직 속성을 뜻한다.
WWW(world wide web)
- 웹 페이지는 페이지의 일부분에 다른 페이지의 위치 정보를 심어 놓음으로써 양쪽을 연결할 수 있는 하이퍼텍스트 라는 문서로 작성
전자메일
- 사용자 끼리 쉽게 메일을 주고받을 수 있는 서비스가 전자메일 서비스 이다.
파일전송
- 컴퓨터 간에 파일을 간단히 주고받을 수 있는 서비스로 파일 전송 서비스가 있으며 www서버에 웹페이지를 업로드할 때 사용된다.
FTP 클라이언트
- ftp 서비스에서 클라이언트가 되는 것은 전용 애플리케이션이나 ftp 서비스를 처리하는 WWW 브라우저 이다.
그 외 서비스 기능 넷뉴스, 파일공유,ip전화 등이있다.
'IT recip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 외 지식] 도커, GIT, JENKINS, Nginx (0) | 2021.09.06 |
---|---|
TCP/IP가 보이는 그림책(3~4장정리) (0) | 2018.11.17 |